출처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9184
9184번: 신나는 함수 실행
입력은 세 정수 a, b, c로 이루어져 있으며,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. 입력의 마지막은 -1 -1 -1로 나타내며, 세 정수가 모두 -1인 경우는 입력의 마지막을 제외하면 없다.
www.acmicpc.net
풀이 :
dp = [[[0]*(21) for _ in range(21)] for _ in range(21)]
def w(a,b,c):
if a <= 0 or b<= 0 or c <= 0 :
return 1
if a > 20 or b > 20 or c >20 :
return w(20,20,20)
if dp[a][b][c]: # 0 이면 반환을 안함
return dp[a][b][c]
if a < b < c :
dp[a][b][c] = w(a,b,c-1) + w(a,b-1,c-1) - w(a,b-1,c)
return dp[a][b][c]
dp[a][b][c] = w(a-1, b, c)+w(a-1,b-1,c)+w(a-1,b,c-1)-w(a-1,b-1,c-1)
return dp[a][b][c]
while 1:
a,b,c= map(int,input().split())
if a == -1 and b == -1 and c == -1 :
break
print(f'w({a}, {b}, {c}) = {w(a,b,c)}')
다이나믹 프로그래밍에 대해 이해가 부족해 해설을 참고했다.
하지만 이 문제로 인해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이해 할 수 있었다.
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은 두 번 이상 계산 하지 않고 한 번 계산을 했으면 그걸 저장하고 다음 계산을 진행 시켜서 시간을 최소화 하는 프로그래밍인것을 살짝 느꼈다.(아닐지도..)
그래서 일단은 각각 a,b,c 에 대한 각각의 값을 저장해야하므로 list comprehesion 으로 dp 라는 3차원을 구현해준다.
그 다음 문제에 제시된 재귀함수를 만들어준다.
그리고 여기서 dp가 0 이 아니면 그냥 출력하게 하고 0이면 출력을 안하게 해준다.
그리고 w값이 존재하면 그건 dp 에 저장해서 한 번계산한 내용에 대해서는 계속 그 값을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.
'코딩테스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9461 파도반 수열 - python (0) | 2022.02.28 |
---|---|
백준 1904 01 타일 - Python (0) | 2022.02.27 |
백준 1003 피보나치 함수 - Python (0) | 2022.02.26 |
백준 9663 N-Queen - Python (0) | 2022.02.19 |
백준 14889 스타트와 링크 - Python (0) | 2022.02.12 |